기독교 박띠(2)
-
<인도기독교사상14> 박띠 마르그로서의 기독교 - 아빠사미 ②
지난 포스팅에서는 A. J. 아빠사미 주교의 생애와 지도자로서, 그리고 신학자로서의 위치와 역할, 그리고 그의 신학의 몇 가지 주제들에 대해서 다루었습니다. 지난 포스팅에 이어 이번에는 그의 신학의 중심 주제 몇 가지를 추가로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본 포스팅은 필자가 번역한 로빈 보이드 박사의 저서 「인도기독교사상」(CLC, 2020)의 내용을 발췌하여 이해하기 쉽도록 재정리한 것으로서, 무단전재를 금하며 인용하거나 공유하실 때는 댓글을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각주를 포함한 상세한 내용을 알기 원하시는 분은 인터넷 서점에서 '인도기독교사상'을 검색하여 책을 구입하시면 큰 도움을 얻으실 수 있습니다. 박띠 마르그로서의 기독교 - 아빠사미 ① http://blog.daum.net/samuellim/191 박..
2021.03.29 -
<인도기독교사상 12> 기독교 박띠시인들 – 크리슈나 필라이 & 나라얀 띨락
힌두교의 박띠 전통 인도 종교철학의 전형적인 형태를 상까라의 순수한 일원론(monism)으로 간주하는 경향은 동양과 서양이 마찬가지였다. 20세기의 대표적인 인도사상가인 라다크리슈난(Radhakrishnan) 박사는 궁극적으로 철저한 일원론적 종교와 그것을 철학적인 해석으로 뒷받침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에 대해 강조했다. 그리고 우리는 일찍이 브라흐마반답이 기독교가 인도에서 성공하려면 아드바이타(advaita) 베단타만큼 높은 수준으로 힌두교가 요구하는 주장을 충족시킬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했음을 보았다. 그러나 인도 종교와 철학에는 또 다른 전통이 있으며, 이 전통 역시 동일하게 영감을 받은 베다에서 유래했다고 주장한다. 이는 루돌프 오토가 “영원한 신을 통한, 그리고 그분과의 교제를 통한 구원에 대..
2021.0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