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교지에 세워진 호남 최초의 서양식 건물, 전주 전동성당

2023. 1. 21. 06:36아름다운 대한민국

728x90

전주한옥마을을 방문할 기회가 있다면 경기전과 더불어 반드시 보고와야 할 명소가 전동성당입니다. 경기전의 맞은 편, 그리고 풍남문의 옆에 자리잡고 있는 전동성당은 호남최초의 서양식 건물이라는 타이틀을 차치하고도, 그리고 가톨릭 신자가 아니라고 할지라도, 건물 그 자체의 규모와 아름다움, 그리고 역사성만으로도 찾아 보아야 할 이유가 충분한 곳입니다.

저도 전주에 방문할 기회가 여러 번 있었지만 다른 일정들 때문에 전동성당을 차분히 볼 수 있는 시간이 없었습니다. 하지만 지난 월요일 오전, 한 나절이라는 시간을 투자하여 한옥마을과 경기전, 전동성당, 그리고 풍남문까지 모두 돌아보며 사진을 담아올 수 있어습니다. 다만 내부는 기도하기 위한 목적 외에는 일반 관광객이 들어가 사진을 촬영해서는 안되었기에 필자가 직접 담은 사진이 아닌 구글에서 얻을 수 있는 이미지로 대체하였습니다.



 

한옥마을쪽에서 성심여중 교정너머로 본 전동성당

전동성당은 복자 윤지충 바오로와 복자 권상연 야고보가 1791년 12월 8일에 참수되어 순교한 곳으로 한국 최초의 천주교 첫순교터이다.1801년 10월 24일에는 복자 유항검 아우구스티노와 복자 윤지헌 프란치스코, 유관검이 이곳에서 능지처참형으로 순교했고, 이어 김유산 토마스와 이우집은 참수로 순교하였다.1889년 봄인 5월 성당이 설립되어 프랑스인 보두네 신부가 첫 본당신부로 부임하였고, 1891년 이곳의 집과 터를 매입하여 본격적인 전주지역 사목활동을 펼쳤다.

1892년에는 성인 새 영세자 19명을 배출하는 등 다양한 복음화가 이루어졌다.1908년 보두네 신부는 이곳에 성전건립을 시작하였는데, 성전의 설계는 서울 명동성당의 건축 경험이 있었던 프와넬 신부가 하였다. 성전을 짓는 과정에서 재정난을 비롯해 많은 우여곡절을 겪었지만, 1914년에 성전건축이 마무리되었다. 그러나 성전 내부의 전례에 필요한 시설과 성물 등의 설치가 다 이루어 지지 못해 축성식은 갖지 못하고, 축복식만 진행하였다 (이후 축성식은 1931년 6월 18일에 진행). 1915년 8월 24일에는 종 축성식을 가졌다. (전동성당 웹사이트에서 인용)

 

전동성당 정문 앞에서 본 풍경

점심시간으로 접어드는 늦은 아침인지라 어쩔 수 없이 심한 역광상황에서 전경을 담아야 했다. 암부를 살리기는 했지만 색감과 디테일을 다 살려내기는 아무래도 좀 어렵다....^^


동성당의 성전은 호남 지방에 최초로 건립된 서양식 건물로서 그 종교적 가치뿐만 아니라 문화예술적 차원에서도 매우 귀중한 유산으로 인정받고 있다.

먼저 성당 정면 아치를 보면, 벽돌로 장식한 부분이 보이는데, 이것을 아키볼트(장식 창도리)라 한다. 정면 중앙에는 높이 솟아 있는 고탑과 좌우 계단탑이 있는데, 고탑 밑에는 종탑이 있고, 종탑 밑에는 미의 절정이라 할 수 있는 장미창이 있다.


보통의 로마네스크 양식의 성당은 성당을 받치던 아치가 바닥까지 내려오거나 기둥머리까지 내려오는데, 전동성당의 아치는 채광창이 있는 벽에서 멈추고 색깔을 바꾸어 붉은 벽돌로 기둥머리까지 오도록 하여, 전반적인 따뜻함과 포근함을 제공하고 있는 것이 인상적이다.

성전의 주춧돌로는 전주성의 성벽 돌이 사용되었는데, 일부 돌은 참수된 순교자들의 머리가 성벽에 매달렸을 때 피가 스며든 돌인 것으로 추정된다. 보두네 신부는 당시 당국에서 신작로를 개설하는 과정에서 성벽을 허물면서 버리던 돌을 구입하였다. 성전 건축에 사용된 목재는 주로 치명자산(승암산)의 나무들이고, 벽돌은 공사를 담당한 중국인 기술자 100여명이 직접 구워 만든 것이다.


성당의 전면부를 클로즈업하여 담았다. 팔을 벌린 예수 그리스도의 상은 브라질 상파울루의 그것과 유사하다.
"수고하고 무거운 짐진 자들아 다 내게로 오라 내가 너희를 쉬게 하리라"(마태복음 11:28)


반대쪽 마리아상 근처에서 담은 전면부의 모습이다.


약간의 수직 보정을 통해 왜곡되지 않은 건물의 실제 이미지를 느낄 수 있도록 해보았다.


전동성당은 한국천주교회의 공식적인 첫 순교자들인 윤지충, 권상연의 순교터 위에 세워진 성당으로, 대한민국 순교의 역사적인 기념터이자 뿌리깊은 신앙의 성지이다.

윤지충(바오로)와 권상연(야고보)은 지체높은 양반가의 자제들로, 일찍부터 학문에 정진하였으나, 천주교 신앙에 대해 알게 된 후, 스스로 교회 서적을 구해 읽기 시작하였다.
이로부터 자신들이 찾고자 했던 진리에 대한 해답을 얻고, 3년 뒤 윤지충은 이승훈으로부터 세례를 받고, 권상연은 그로부터 천주교리를 배워 천주교에 입교하였다.

그러던중 1790년경 북경의 구베아 주교로부터 제사 금지령이 전달되었는데, 이로 인해 수많은 조선의 양반들이 충격을 받고 신앙을 버리게 되지만, 윤지충과 권상연은 끝까지 신앙을 지키기로 결심한다.

1791년 여름 윤지충이 모친상을 당하여, 권상연과 함께 어머니의 유언대로 유교식 예를 쓰지 않고 신주를 불살라 버렸는데, 이 소식이 조정까지 전해진다.

그들을 체포하라는 명령에 피신해 있던 그들을 대신해 숙부를 감금하자, 이들은 진산 관아에 자수하였고, 전락 감영에 압송되어 온갖 문초와 배교하라는 권고를 받았으나, “천주를 아버지로 받아들이고 난 뒤에는 그분의 말씀을 따르지 않고서는 견딜 수가 없었습니다"라는 말로 자신들의 믿음을 당당히 드러내었다.


시대와 배경을 고려해 볼 때 이는 놀라운 신앙 고백이자 선언이었고, 이에 그들에게는 군문효수형이 언도되었다.
그렇게 순교로써 자신들의 신앙을 증거한 윤지충의 나이는 33세, 권상연의 나이는 41세였다.

윤지충(바오로), 권상연(야고보)는 같은 날 참수당했으며 초연한 자세로 마지막까지 "예수 마리아"를 부르며 어서 목을 베라고 할 정도로 의연하게 죽음을 받아들였다고 전해진다.

그렇게 1791년 한국 교회의 최초 순교자 윤지충, 권상연의 순교 현장, 또 1801년 호남의 사도 유항검과 동료 순교자들의 능지처참과 참수의 현장 위에, 성인들의 순교를 지켜본 성곽의 돌로 성당이 지어짐으로써, 이곳이 순교지일뿐 아니라 ‘신앙의 증거‘, 신앙의 요람’임을 드러냈다.

성당의 뒤로 돌아서 순광으로 뒷모습을 담았다.

후면에서 담은 사진에 약간의 수직보정을 했다.

성당을 건축하는 공사기간동안 전주 시내 신자들은 물론 진안, 장성 등지의 교우들이 밥을 지어먹을 솥과 양식을 짊어지고 와, 손에 굳은 살이 어깨에는 혹이 생기도록 자원 부역을 했다. 그러한 노력 끝에 공사를 시작한지 7년 만인 1914년 외부공사를 마쳤는데, 이듬해 초대 주임 보두네 신부는 성당의 완공을 보지 못하고 56세의 나이로 선종한다. 그 뒤를 이어 받은 제2대본당 주임인 라크루 신부의 주도로, 17년이라는 긴 세월동안 내부공사를 진행하여 마침내 1931년, 착공한지 23년만에 성당을 완성한다.


서양의 어떤 성당과 견주어도 그 아름다움과 미학적인 구조가 뒤지지 않는 전동성당은 전주의 랜드마크 중 하나가 되었다.

구글에서 찾아온 전동성당 내부 모습.

전동성당 내부의 모습은 아치들이 이어진 전통적인 로마네스크 양식에 아름다운 스테인드 글라스로 장식된 창으로 경건하고 신비로운 분위기를 자아낸다. 

구글에서 가져온 전동성당 내부 이미지

미사를 집전하는 전면부의 제단은 2단으로 구성된 아치로 둘러싸여 있고, 아치들 사이의 조형틀이 돔 상부로 연결되어 최고의 아름다움을 느끼게 한다.

풍남문 앞 광장의 소녀상 쪽에서 바라본 전동성당의 모습.

풍남문 로터리 옆 사거리에서 본 전동성당.



설날 아침, 밤새 운전해 내려오는 아들들을 기다리며
전동성당 이야기를 작업해 올립니다.
오늘 행복한 명절 보내시기 바랍니다~

728x90